반응형 전체 글329 [나는 리뷰어다] AI 프로덕트 기획과 운영 한빛미디어 서평단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AI 엔지니어 겸 PM이 읽는 'AI 프로덕트 기획과 운영': 두 세계를 연결하는 법오전에는 모델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오후에는 PRD(Product Requirements Document)를 작성합니다. 코드를 짜다가 사용자 인터뷰 일정을 확인하고, 모델 성능을 측정하다가 비즈니스 지표를 고민하죠. AI 엔지니어이면서 동시에 PM인 저는, 매일 두 개의 뇌를 번갈아 쓰는 것 같은 피로함을 느끼곤 합니다."이 모델의 정확도를 95%까지 올렸는데, 사용자는 왜 여전히 불만족할까?""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정확히 알겠는데, 기술적으로 어떻게 구현할지 막막하다."혹시 이런 고민, 여러분도 해보셨나요? 'AI 프로덕트 기획과 운영'은 바로 이 두.. 2025. 10. 26. From human experts to machines: An LLMsupported approach to ontology and knowledgegraph construction 원문: https://arxiv.org/pdf/2403.08345Abstract기존의 온톨로지 및 지식 그래프(KG) 구축 과정은 인간 도메인 전문가에게 크게 의존하여 개체와 관계 유형을 정의하고, 계층 구조를 수립하며, 도메인과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ABox를 채우고(또는 인스턴스로 채움), 데이터 품질(정확성과 완전성 등 포함)을 보장합니다. 한편, 대규모 언어 모델(LLM)은 최근 인간과 유사한 자연어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능력으로 주목받으며, 이 과정의 일부를 자동화할 수 있는 유망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는 오픈소스 LLM을 활용한 지식 그래프의 (반)자동 구축을 탐구합니다. 논문의 파이프라인은 역량 질문([[CQ]]) 작성, 이러한 [[CQ]]를 기반으로 온톨로지([[TBox]]) 개발, .. 2025. 10. 19. VCRL: VARIANCE-BASED CURRICULUM REINFORCEMENT LEARNING FOR LARGE LANGUAGE MODELS AI가 수학 문제를 더 잘 풀 수 있도록 학습시키는 새로운 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기존 방법들의 문제점은 AI에게 쉬운 문제부터 어려운 문제까지 순서 없이 무작위로 가르쳤다는 점인데, 이는 사람이 기초부터 고급까지 단계적으로 수학을 배우는 방식과 다릅니다.연구진은 흥미로운 발견을 했습니다. AI가 같은 문제를 여러 번 풀 때 나오는 답들의 일관성을 보면 그 문제의 난이도를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너무 쉬운 문제는 항상 맞혀서 답이 일관되고, 너무 어려운 문제는 항상 틀려서 역시 답이 일관됩니다. 반면 적당한 난이도의 문제는 때로 맞고 때로 틀려서 답이 다양하게 나옵니다.이를 바탕으로 개발한 VCRL 방법은 이런 '답의 일관성'을 측정해서 문제 난이도를 파악하고, AI에게 적당한 난이도의 문제를 우선적으.. 2025. 10. 12. [나는 리뷰어다] 정지훈의 양자 컴퓨터 강의 한빛미디어 서평단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막연한 호기심에서 구체적인 이해로양자 컴퓨팅은 늘 궁금하면서도 막연한 존재였습니다. 머리로는 이해하고 있었지만 정작 양자 컴퓨팅이 제가 하는 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언제쯤 실용화될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그림을 그리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만난 '정지훈의 양자 컴퓨터 강의'는 양자 기술에 대한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훌륭한 입문서였습니다.기술적 깊이와 현실적 관점의 조화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기술적 깊이와 실용적 관점을 균형 있게 다룬다는 점입니다. 1장에서 양자 컴퓨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할 때도 단순히 이론적 설명에 그치지 않고 IBM, 구글 등 실제 기업들의 경쟁 상황을 함께 제시하여 현재 이 기술이.. 2025. 9. 28. A TIME SERIES IS WORTH 64 WORDS:LONG-TERM FORECASTING WITH TRANSFORMERS 원문: https://arxiv.org/pdf/2211.14730튜토리얼: https://huggingface.co/blog/patchtst Patch Time Series Transformer in Hugging Face huggingface.co ABSTRACTPatchTST는 시계열 데이터를 예측하는 새로운 AI 모델입니다. 기존 모델들이 시간 데이터를 한 시점씩 처리하던 것과 달리, 이 모델은 데이터를 작은 조각(패치)으로 묶어서 처리합니다. 마치 책을 한 글자씩 읽지 않고 단어 단위로 읽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이 방식에는 세 가지 큰 장점이 있습니다. 첫째, 시간 구간 안의 의미 있는 정보를 더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 둘째, 계산량이 크게 줄어들어 속도가 최대 22배까지 빨라집니다. 셋째,.. 2025. 9. 21. 객체지향 시스템 디자인 원칙 ※ 도서 협찬: 본 글은 길벗 출판사로부터 '객체지향 시스템 디자인 원칙' 도서를 제공받아 제작되었습니다. 복잡성과의 전쟁에서 승리하는 법 - '객체지향 시스템 디자인 원칙' 깊이 읽기소프트웨어의 숙명: 시간과 함께 증가하는 복잡성"복잡성을 줄이거나 그대로 유지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복잡성이 증가한다."- 메니 레만 엔트로피 법칙처럼, 의도적인 노력 없이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자연스럽게 무질서해진다는 말인데요. 실무에서도 분명히 이를 목격하는 순간들이 있습니다.처음엔 5분이면 끝날 것 같던 기능 추가가 하루 종일 걸리는 상황한 곳을 고쳤더니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서 버그가 터지는 경험코드를 읽다가 "이게 도대체 무슨 일을 하는 거지?"라고 중얼거리는 순.. 2025. 9. 14. Mechanism Design for Large Language Models 원문: https://arxiv.org/pdf/2310.10826Abstract이 연구는 AI가 만든 콘텐츠(예: 광고)를 경매로 거래하는 방법을 연구한 것입니다.핵심 아이디어AI들이 서로 경쟁해서 원하는 종류의 콘텐츠를 만들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발각 AI는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콘텐츠가 만들어지도록 돈을 제시(입찰)콘텐츠는 한 단어씩 만들어지면서, 그때마다 AI들이 영향력을 행사연구 성과공정한 경매가 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찾아냄명확한 가격 책정 없이도 2등 가격 경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 개발실제 사용 가능한 AI 모델로 이 시스템이 작동함을 확인쉽게 말해, 여러 AI가 돈을 걸고 경쟁해서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의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공정한 게임 규칙'을 만든 연구입니다.1 Introd.. 2025. 9. 7. [나는 리뷰어다] 코드 너머, 회사보다 오래 남을 개발자 "한빛미디어 서평단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언제 어디서나 빛나는 개발자가 되는 비결은 코드와 사람, 두 영역 모두에 능숙해지는 것입니다."개발자라면 한 번쯤 이런 고민을 해봤을 것입니다. 기술적 역량은 충분한데 왜 인정받지 못할까? 좋은 코드를 짜는데 왜 팀워크는 어려울까? 이 책은 그런 개발자들을 위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해답을 제시합니다.책 개요이 책은 크게 3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PART 01: 상위 1% 개발자가 되기 위한 실전 소프트 스킬PART 02: 조직을 성장의 무대로 만드는 커리어 전략PART 03: 커리어 도약을 위한 퍼스널 브랜딩 기술현업 개발자 출신 데브렐 전문가들이 직접 경험하고 검증한 실무 노하우가 담겨 있어, 실전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내.. 2025. 8. 31. 이전 1 2 3 4 ··· 42 다음 반응형